테크몽이라는 유튜버가 말한 것처럼
이번 SKT의 해킹 사건은 믿기지가 않는다.
그가 말했듯이
"예전에 KT랑 LG가 털렸다고 얘기하는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와 같은 이미 털릴 만큼 털려버린 정보들이었다면 이번에 SKT가 털렸다고 보는 중요한 정보들은 IMSI나 유심 인증키와 같은 정말 중요한 정보들이기 때문이다"라며 "다른 업체들도 털렸는데 왜 SKT만 욕을 먹느냐고 하면 안 될 것 같다"
2025년 4월 22일, 공지사항을 통해 해킹으로 인한 악성코드 감염으로 SK텔레콤 고객 다수의 USIM 정보 일부가 유출되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관련 장비 격리조치 및 악성 코드 삭제를 완료하였으며, 감염 경로 및 관련 정보 유출 범위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유출된 개인 정보는 IMSI와 IMEI, USIM 인증키 등으로 알려졌다.
굉장히 심각한 개인 정보 유출 사태임에도 피해자인 SK텔레콤 일반 고객들 사이에서는 하루가 꼬박 지난 23일 저녁이 될 때까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출처: https://namu.wiki/w/SK%ED%85%94%EB%A0%88%EC%BD%A4%20%EC%9C%A0%EC%8B%AC%20%EC%A0%95%EB%B3%B4%20%EC%9C%A0%EC%B6%9C%20%EC%82%AC%EA%B3%A0#s-6.1)
사상초유의 정보유출 사건이다.
운없이 이 정보가 어둠의 손에 들어간다면 유출된 유심정보로
스마트폰을 개통하고, 개통한 스마트폰으로 내 계좌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 큰 어려움 없이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세계에서의 내 지문같은
유심정보를 유출시켰고,
내가 피해자가 안 되는 것은 운이 좋아서일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194562.html
SKT, 국민 절반 피해자 만들고도 ‘이용자 책임’ 따지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에스케이텔레콤(SKT)이 27일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만 스마트폰 유심 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를 전액 보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유출 범위와 규모를 정
www.hani.co.kr
SKT의 대응은 세상 편하다.
유심 교체를 무상으로 해줄테니 오프라인 매장에서 줄을 서고,
허둥지둥 오느라 신분증을 들고 오지 않은 고객들을 되돌려 보낸다.
당장 유심이 모자라니 다음 방문을 요구하며 고객들을 되돌려 보낸다.
고객의 시간과 노력은 이렇게 허비된다.
SK텔레콤의 문제는 인지한 이후 바로 알린 것이 아닌 3일 후에야 알렸으며 이후 물리적인 유심교체가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했던 무료 유심보호 부가서비스를 그것도 고객이 직접 가입해야만 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사의 조치와 비교되고 있다. (출처: 나무위키)
그리고 이번 사건에도 유심보호 부가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의 피해만 책임지겠다고 밝히는 등 본인들의 행위에 대한 책임감이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AI에 크게 투자해 성과를 보여주는 SKT.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2476
SK텔레콤 AI 투자 확대에 보안 소홀, 경쟁사 대비 낮은 보안투자가 해킹사고 불렀나
SK텔레콤 AI 투자 확대에 보안 소홀, 경쟁사 대비 낮은 보안투자가 해킹사고 불렀나
www.businesspost.co.kr
하지만 그에 비해 보안은 소홀했나 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그동안 보안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더라도, AI 사업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이 이번 사고의 원인 중 하나가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전엔 지금의 KT가 이동통신을 독점했었다.
민영화가 되면서 지금은 SKT와 LG가 추가로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다.
이들 통신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 같은 산업이다.
국민 누구도 이동통신의 영향 하에 있으므로
큰 투자나 개발없이도 유지만 잘 하면 매출을 확보할 수 있다
SKT 같이 안전한 기업으로 이미지 메이킹을 잘 한다면 다른 기업과의 차별이 없어도 업계 1위를 지켜올 수 있었다.
그 결과 SKT는 우리나라에서 연봉을 가장 많이 주는 기업으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고객에게 좀 더 필요한 것은 안전, 보안과 같은 기본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thou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시 사각지대의 위험과 숄더체크의 중요성(블랙박스) (1) | 2025.04.08 |
---|---|
내가 들어보지 못해서, 아이에게 해주지 못한 말들 (0) | 2025.03.26 |
아담 멜루크(Adam Mellouk) 에 대해서 (0) | 2025.02.24 |
젊은이를 아끼는 나라 (1) | 2025.01.31 |
God's pocket (4) | 2025.01.23 |